Recent List
2015-03-20
Anger (분노)
What exploded at Stonewall was anger. Within the Christian tradition anger has been cast as a deadly sin but Beverly Harrison has noted that anger is an expression of deep bodily knowledge. It is a:
"feeling-signal that all is not well in our relation to other persons or groups or to the world around us. Anger is a mode of connectedness to others and it is always a vivid form of caring. To put the point another way: anger is - and it always is - a sign of some resistance in ourselves to the moral quality of social relations in which we are immersed... Where anger rises, there the energy to act is present."(Harrison)
Anger does not automatically inspire us to act correctly or justly. We have to reflect on what to do with our anger but anger plays a vital part in articulating the erotic, the yearning for connection and right relation with others. Harrison believes that the suppression of feeling as the basis of moral reflection leads to a disconnection with the world and therefore an impaired rationality and a tendency to act inhumanely.
- Lisa Isherwood & Elizabeth Stuart, Introducing Body Theology, 103-04.
(번역해보자면)
스톤월 항쟁에서 폭발적으로 나타난 것은 바로 분노(anger)이다. 기독교 전통 안에서 분노는 버려져야 할 치명적인 죄로 여겨졌지만, 비벌리 해리슨(Beverly Harrison)은 분노를 깊은 몸적 지식(Bodily Knowledge)의 한 표현이라고 보았다. 즉 분노는 다른 사람들이나 그룹들이나 주변 세계와의 관계가 건강(well)하지 못할 때 나타나는 감정 신호라는 것이다. 분노는 타인들과의 관계되어짐의 양식이며, 분노는 언제나 돌봄(caring)의 강렬한 형태로서 존재한다. 달리 말하자면, 분노는 항상, 우리가 몸담고 있는 사회적 관계들의 도덕적 질(quality)에 대한 우리 자신들의 저항의 신호이다. 분노가 일어나는 곳에는 행동하려는 에너지가 존재하게 된다.
분노(anger)가 자동적으로 올바르거나 정당하게 우리의 행동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우리는 우리의 분노를 가지고 무엇을 할 것인가를 성찰해야 하지만, 분노는 성애(the erotic), 즉 타인과의 연결과 올바른 관계에 대한 갈망을 분명히 표명하는 데에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도덕적 반성에 따른 감정의 억압은 세계와의 단절을 가져오며, 이는 약화된 합리성과 비인도적으로 행동하려는 경향에까지 이르게 된다고 해리슨은 보았다.
Label:
[doodling],
Anger,
Beverly Harrison,
Body theology,
Elizabeth Stuart,
Lisa Isherwood,
몸신학,
분노,
성애
No comments:
Post a Comment